Sempé의 Marcellin Caillou로 프랑스어 공부하기 (1)

2024. 8. 19. 13:29카테고리 없음

반응형

(93) Hana's Lullaby - YouTube

 

 

 

 

"J'aimerais bien savoir pourquoi je rougis comme ça !"

 

(1) J'aimerais bien savoir pourquoi je rougis comme ça !

          "나는 왜 이렇게 얼굴이 붉어지는지 정말 알고 싶어!"

 

(2) 문법 사항 설명:

  1. aimerais:
    • 'aimer'의 조건법 현재형이다.
    • 공손하고 완곡한 표현을 만드는 데 사용된다.
  2. 'bien':
    • 여기서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된다.
    • "정말로", "진심으로"의 뉘앙스를 더한다.
  3. 'savoir pourquoi' :
    • 간접 의문문을 형성한다.
    • 'pourquoi'는 "왜"를 의미하는 의문사이다.
  4. 'je rougis' :
    • 'rougir'의 직설법 현재형이다.
    • "붉어지다", "얼굴이 빨개지다"를 의미한다.
  5. 'comme ça':
    • "이렇게", "이와 같이"를 의미하는 관용구이다.
    • 여기서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된다.

이 문장은 화자의 호기심과 약간의 당혹감을 표현한다. 조건법을 사용하여 공손하고 부드러운 어조를 유지하면서도, 자신의 생리적 반응(얼굴이 붉어지는 것)에 대한 의문을 나타낸다.

 

 

 

(1) 해석하기 

Le petit Marcellin Caillou aurait pu être un enfant très heureux comme beaucoup d'autres enfants. Malheureusement,

              "어린 Marcellin Caillou는 다른 많은 아이들처럼 매우 행복한 아이가 될 수 있었다. 불행히도,"

 

(2) 문법 사항 설명:

  1. 조건법 과거 (Le conditionnel passé):
    • "aurait pu être" 구문이다.
    • 'pouvoir'의 조건법 과거형이다.
    • 과거의 가능성이나 실현되지 않은 상황을 표현한다.
  2. 비교 표현:
    • "comme beaucoup d'autres enfants"는 비교 구문이다.
    • "처럼", "와 같이"의 의미로 사용된다.
  3. 형용사의 위치:
    • "très heureux"에서 형용사 'heureux'가 명사 뒤에 위치한다.
    • 프랑스어에서 대부분의 형용사는 명사 뒤에 온다.
  4. 부사 'Malheureusement':
    • 문장 시작부분에 위치하여 전체 문장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나타낸다.
    • 쉼표로 구분되어 있다.

이 문장은 어린 마르셀랭의 잠재적 행복과 그것이 실현되지 못한 현실 사이의 대조를 보여준다. "Malheureusement"로 시작하는 다음 문장에서 그의 불행한 상황이 설명될 것임을 암시한다.

 

 

(1) 문장해석하기

il était affligé d'une maladie bizarre : il rougissait.  Il rougissait pour un oui pour un non. Heureusement, me direz-vous,

"그는 이상한 병에 걸려 있었다: 그는 얼굴이 붉어졌다. 그는 예, 아니오 할 것도 없이 얼굴이 붉어졌다. 다행히도, 당신은 말할 것이다,"

 

(2) 문법 사항 설명 :

  1. 반과거(l'imparfait):
    • "était affligé"와 "rougissait"에서 사용된다.
    • 과거의 상태나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2. 관용구 "pour un oui pour un non":
    • "사소한 이유로", "별 이유 없이"라는 의미이다.
    • 직역하면 "예를 위해서, 아니오를 위해서"이다.
  3. 직접 목적어 대명사 "vous":
    • "direz-vous"에서 동사 뒤에 위치한다.
    • 이는 조건이나 가정을 나타내는 도치 구문이다.
  4. 조건법 현재 (conditionnel présent):
    • "direz"는 'dire'의 조건법 현재형이다.
    • 가정이나 추측을 나타낸다.
  5. 콜론(:)의 사용:
    • 설명이나 열거를 위해 사용된다.

이 문장들은 마르셀랭의 특이한 상태를 설명하고, 독자의 반응을 예상하며 이야기를 전개한다. "Heureusement"으로 시작하는 마지막 문장은 독자의 예상되는 반응을 나타내며, 이어질 내용에 대한 기대를 만든다.



 

 

 

(1) 해석하기

Marcellin n'était pas le seul à rougir. 

Tous les enfants rougissent. Ils rougissent quand ils sont intimidés ou qu'ils ont fait une bêtise.
Mais, ce qui était troublant dans le cas de Marcellin, c'est qu'il rougissait sans aucune raison.

 

"마르셀랭은 얼굴이 붉어지는 유일한 사람이 아니었다.

모든 아이들은 얼굴이 붉어진다. 그들은 당황할 때나 바보 같은 짓을 했을 때 얼굴이 붉어진다.
하지만 마르셀랭의 경우에 문제가 되는 것은 그가 아무 이유 없이 얼굴이 붉어진다는 점이다."

 

(2) 문법 사항 설명

  1. 부정문:
    • "n'était pas"는 'être'의 반과거 부정형이다.
    • 'ne ... pas' 구조가 사용되었다.
  2. 현재 시제의 사용:
    • "rougissent"가 현재시제로 사용된 것은 일반적인 사실을 나타내기 위해서이다.
    • 시간 접속사 'quand':
    • "quand ils sont intimidés"에서 사용된다.
    • '~할 때'의 의미로, 조건이나 시간을 나타낸다.
  3. 관계대명사 'que':
    • "qu'ils ont fait"에서 사용된다.
    • 선행사인 'bêtise'를 받아 목적어 역할을 한다.
  4. "ce qui était troublant"에서의 ce : 중성 지시대명사 

       'ce'는 중성 지시대명사이다. 'ce'의 주요 특징과 기능은 다음과 같다:

  • 의미: 'ce'는 '이것', '그것'을 의미하며, 앞서 언급된 상황이나 개념 전체를 지칭한다.
  • 기능: 관계대명사 'qui'와 함께 사용되어 '~한 것'이라는 의미의 명사절을 만든다.
  • 용법: 'ce qui'는 주어 역할을 하는 관계절을 이끈니다. 여기서는 'était troublant'의 주어 역할을 한다.
  • 특징: 'ce'는 특정 명사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앞서 설명된 전체 상황이나 개념을 포괄적으로 지칭한다.
  • 번역: 한국어로 번역할 때는 종종 '한 점', '한 것'으로 옮긴다.

이 문장에서 'ce'는 마르셀랭이 아무 이유 없이 얼굴이 붉어지는 전체 상황을 가리킨다. 따라서 "마르셀랭의 경우에 문제가 되는 것은"으로 번역될 수 있다.

 

5. 전치사 'sans':

  • "sans aucune raison"에서 사용된다.
  • '~없이'의 의미를 나타낸다.

이 문단은 마르셀랭의 특이한 상황을 일반적인 아이들의 경우와 대조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인 상황과 마르셀랭의 특수한 상황을 비교함으로써 그의 문제의 특이성을 강조한다.

 

 

 

(1) 해석하기

 

Ça lui arrivait au moment où il s'y attendait le moins.

J'ai l'impression que je commence à rongir...
Qu'est-ce que je suis rouge ! ...

 

Par contre, au moment où il aurait dû rougir, eh bien, dans ces moments-là, il ne rougissait pas...

 

Tu n'as pas honte ?

Si, mais je n'arrive jamis à rougir ....


"그것은 그가 전혀 예상하지 못한 순간에 일어났다.
나는 얼굴이 붉어지기 시작하는 것 같다...
내가 얼마나 붉어졌는지!...

 

반면에, 그가 얼굴을 붉혀야 할 순간에는, 그런 때에는 오히려 얼굴이 붉어지지 않았다...

 

너는 부끄럽지 않아?
네, 하지만 저는 결코 얼굴을 붉힐 수 없어요..."

 

(2) 문법 사항 :

  • 대명동사: "s'y attendait"는 's'attendre à'의 반과거형이다.
  •  "je commence à rougir"에서 'commencer à + 동사원형'은 시작을 나타낸다.
  • 감탄문: "Qu'est-ce que je suis rouge !" 는 강조된 감탄을 표현한다.
  • 조건법 과거: "il aurait dû rougir"는 과거의 의무나 당위를 나타낸다.
  • 부정문: "je n'arrive jamais à rougir"에서 'ne...jamais'는 '결코...않는다'를 의미한다.
  • 대화체 표현: "Tu n'as pas honte?"는 직접적인 질문으로,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된다.
  • "Si"의 사용: 여기서 "Si"는 긍정적인 대답으로, '네'를 의미한다. 부정 질문에 대한 긍정 대답이다.

이 대화는 마르셀랭의 특이한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그의 얼굴 붉어짐이 통제도 불가능하고 예측도 불가능한 것임을 보여준다.



 

 

(1) 해석

Bref, Marcellin Caillou avait une vie assez compliquée...

Pourquoi je rougis comme ça ?  J'aimerais bien savoir pourquoi je rougis comme ça!

 

"요컨대, 마르셀랭 카이유는 꽤 복잡한 삶을 살고 있었다...
왜 내가 이렇게 얼굴이 붉어지는 거지? 나는 왜 이렇게 얼굴이 붉어지는지 정말 알고 싶다!"

 

(2) 문법 사항 

  1. "Bref":
    • 결론을 이끄는 부사이다.
    • "요약하자면", "간단히 말해서"의 의미로 사용된다.
  2. 반과거(l'imparfait):
    • "avait"는 'avoir'의 반과거형이다.
    • 과거의 지속적인 상태나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3. 직접 의문문:
    • "Pourquoi je rougis comme ça?"는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직접 의문문이다.
    • 형식적으로는 "Pourquoi est-ce que je rougis comme ça?"가 더 정확하다.
  4. 조건법 현재(conditionnel présent):
    • "J'aimerais"는 'aimer'의 조건법 현재형이다.
    • 공손한 요청이나 희망을 표현할 때 사용된다.
  5. 부사 "bien":
    • 여기서는 강조의 의미로 사용된다.
    • "정말로", "진심으로"의 뉘앙스를 더한다.
  6. 간접 의문문:
    • "pourquoi je rougis comme ça"는 'savoir'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간접 의문문이다.

이 문장들은 마르셀랭의 복잡한 상황을 요약하고, 그의 혼란스러운 감정과 자신의 상태에 대한 궁금증을 직접적으로 표현한다. 반복되는 질문은 그의 답답함과 해답을 찾고자 하는 열망을 강조한다.

 

 

(1) 해석하기

 

toujours la même :
pourquoi je rougis?

 

항상 같은 질문이다
"왜 내 얼굴이 붉어지는 거지?"

 

(2) 문법 사항 

  1. "toujours la même":
    • "toujours"는 '항상', '늘'을 의미하는 부사이다.
    • "la même"은 '같은 것'을 의미하는 대명사로, 여기서는 '질문'을 지칭한다.
    • 전체 문구는 생략된 형태로, 완전한 문장은 "C'est toujours la même question"이 된다.
  2. 콜론(:)의 사용:
    • 설명이나 열거를 위해 사용된다.
    • 여기서는 뒤에 오는 질문을 소개하는 역할을 한다.
  3. 직접 의문문:
    • "pourquoi je rougis?"는 구어체에서 자주 사용되는 직접 의문문이다.
    • 형식적으로는 "Pourquoi est-ce que je rougis?"가 더 정확하다.
  4. 현재 시제:
    • "rougis"는 'rougir'의 현재형이다.
    • 현재 진행 중인 상태나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낸다.

이 문장은 마르셀랭이 계속해서 같은 질문을 반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그의 상황이 지속되고 있으며, 그가 여전히 답을 찾지 못했음을 암시한다. 간결한 표현을 통해 그의 혼란과 답답함이 효과적으로 전달된다.

 

 

 

(1) 해석

Je pourrais vous raconter qu'une Fée

- la Fée de la Forêt - utilisa ses dons surnaturels, ou que dans une grande ville moderne, un habile médecin triompha de ce cas intéressant.

 

merci madame la Fée.
Merci de me guérir.
Je suis peut-etre roug en ce moment, mais
c'est l'emotion..

 

"나는 당신에게 요정 - 숲의 요정 - 이 그녀의 초자연적인 능력을 사용했다고 말할 수 있다거나  현대의 큰 도시에서 능숙한 의사가 이 흥미로운 사례를 해결했다고 말할 수 있다.

요정님, 감사합니다.
저를 치료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지금 제 얼굴이 붉어졌을지도 모르지만,
그것은 감동 때문입니다.."

 

(2) 문법 사항 설명:

  1. 조건법 현재: "Je pourrais"는 'pouvoir'의 조건법 현재형이다. 가능성이나 공손한 표현을 나타낸다.
  2. 단순과거: "utilisa"와 "triompha"는 단순과거 형태로, 과거의 완료된 행동을 나타낸다.
  3. 부정관사의 생략: "merci madame la Fée"에서 'madame' 앞에 부정관사가 생략되었다.
  4. 전치사 'de': "Merci de me guérir"에서 'de'는 동사 원형과 함께 사용되어 이유나 목적을 나타낸다.
  5. 현재분사: "en ce moment"은 '지금', '현재'를 의미하는 관용구이다.
  6. 철자 오류: "peut-etre"는 올바른 철자로 "peut-être"이다.
  7. 생략된 표현: "c'est l'emotion.."에서 'à cause de'가 생략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대화는 마르셀랭의 문제가 해결되었음을 암시하며, 그의 감사와 감동을 표현한다. 동화적 요소와 현실적 요소를 병치시켜 이야기의 결말을 열어두는 효과를 준다. 이 문장은 어떤 이야기나 상황을 설명하는 두 가지 다른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하나는 환상적이고 마법적인 설명이고, 다른 하나는 현실적이고 과학적인 설명이다. 화자는 이 두 가지 설명 방식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1) 해석

Mais il n'y avait pas de Fée dans la région et, bien qu'il y ait beaucoup de médecins dans les grandes villes modernes, aucun ne fut assez habile pour le guérir.

하지만 그 지역에는 요정이 없었고, 현대의 큰 도시들에 많은 의사들이 있었지만, 그를 치료할 만큼 충분히 능숙한 의사는 없었다.

 

(2) 문법 사항 

  1. 부정표현: "il n'y avait pas"는 '~가 없었다'를 의미하는 부정문이다.
  2. 접속사 "bien que": '~임에도 불구하고'를 의미하며, 뒤에 접속법을 요구한다.
  3. 접속법: "qu'il y ait"에서 'ait'는 'avoir'의 접속법 현재형이다.
  4. 형용사의 비교급: "assez habile"은 '충분히 능숙한'을 의미한다.
  5. 부정대명사: "aucun"은 '어떤 ~도 없다'를 의미하는 부정 형대명이다.

            aucun ne fut assez habile pour le guérir.

  • 단순과거: "fut"는 'être'의 단순과거형으로, 과거의 한 시점을 나타낸다.
  • 부정어의 강조: "aucun ne fut"에서 'ne'와 'aucun'이 함께 사용되어 부정을 강조한다.
  • aucun'은 부정 대명사로, '아무도 ~않다', '어느 것도 ~않다'의 의미를 가진다.
  • 'ne'는 프랑스어 부정문의 첫 번째 부분으로, 동사 앞에 위치한다.
  • 'aucun ne'는 함께 사용되어 강한 부정을 나타낸다. '전혀 ~하지 않다', '절대 ~하지 않다'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 이 구조는 주어 역할을 하며, 단수 동사를 취한다.
  • 'aucun'은 여기서 '어떤 의사도'를 지칭하고 있다.

이 문장은 마르셀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초자연적 또는 의학적 방법이 없었음을 나타낸다. 이는 그의 상황이 얼마나 특별하고 해결하기 어려운지를 강조하는 효과가 있다.

 

반응형